✔웹서버 만들기
cmd에서 node main.js 실행하고 주소창 localhost:3000으로 들어가면 노드가 서버의 기능을 하는 것
ctrl+c 종료
response.end(fs.readFileSync(__dirname + url)); //node.js가 경로에 해당되는 파일을 읽어서 가져온 것을 response.end() 안에 위치 시키는 것
저 괄호 안에 어떤 코드를 넣느냐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가 바뀐다
아파치 같은 웹서버는 불가, node.js, php, 장고는 가능
✔JavaScript Data type Num/String 이항연산자 +
js는 문자열 사이의 +를 산술연산자가 아니라 결합연산자로 바꿔버림
string.length 문자열의 길이
✔js 변수
✔js Template Literal=template string: 여러 줄로 이루어진 문자열의 표현과 문자의 치환
\n 역슬래쉬n 줄바꿈
Literal : 정보를 표현하는 기호
변수 넣을 때 +변수명+, 줄바꿈 시 \n 대신
문자열을 벡틱` 으로 묶고 ${변수명} 처리, 줄바꿈은 그냥 엔터 => 가독성 좋아짐
✔node_url의 이해
port: 웹서버는 80번 포트를 쓴다고 전세계적으로 약속 http로 접속> 웹서버로 접속
localhost의 기본값이 80> 포트번호 아무것도 안적으면 80번
query string: 이 값을 변경하면 웹서버에게 데이터를 전달 가능 (내가 읽고 싶은 정보면 html의 12페이지다)
query string의 시작: ? ,값과 값: &, 이름과 값: = 로 약속되어 있음
✔URL로 입력된 값 사용 방법
query string의 값에 따라서 node.js로 만든 웹서버가 사용자에게 동적으로 생성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
query string에 따라 다른 정보를 보여주는걸 해볼 것
아톰에 코드 적고 cmd에 node main.js 적고 주소창 뒤쪽에 /?id = CSS 적으면
cmd에 CSS(id값)가 뜨고 웹 화면에 CSS 출력되는 실습
비상 비상
기존 코드 실습 안됨
Node.js - 10.URL을 통해서 입력된 값 사용하기 - YouTube
댓글 코드 cmd 실습 되나 웹 화면에 html css라고 글자x 흰 화면으로 뜸
두 번째 댓글 참고(화면엔 글자가 뜨나 cmd에서 실습 안됨)
두 개를 참고하고 합쳐서 수정했다
실습 성공한 여기서 한 번 커밋!
출처 : 생활코딩
댓글